변산, 부안 여행은 채석강이 있는 해변가 중삼과 내륙으로 들어오면 내소사와 곰소항이 있다. 내소사는 크지는 않지만 아직 주변에 민가가 남아있어 산 깊숙이 들어 있는 사찰에 비해 정감이 더 느껴지는 사찰이다. 내소사에 이르는 길은 전나무숲이 반겨주고 더 지나면 단풍이 사람들을 맞이한다. 내소사 대웅보전은 1623년(인조 1)에 완공되었는데 기법이 매우 독창적인 조선 중기의 대표작이다. 못 하나 쓰지 않고 나무를 깎아 서로 교합하여 만들었다고 하며, 법당 내부의 벽면에 그려진 관세음보살상 등의 그림도 일품이다.
#부안 능가산 #내소사
0 내소사 단풍. 11월 초
내소사 #전나무숲길을 지나면 눈이 들어오는 단풍, 단풍이 요란스럽지는 않지만 하나하나 나름 이쁜 색을 가지고 있다. 11월 초순이면 단풍이 가장 아름다울 때다. 11월 첫째 주가 그래도 제일 아름답겠네요.
#곰소항
곰소항은 새우젓으로 유명한 항이다. 근해에서 나는 싱싱한 어패류를 재료로 각종 젓갈을 생산하는 대규모 젓갈 단지가 조성돼 있어 주말이면 젓갈 쇼핑을 겸한 관광객들로 붐비는 곳이다. 곰소항은 11월 초순이 되면 김장하기 위해 새우젓을 사려 오는 사람들이 많다. 이 항구는 일재 말엽 우리 한민족에게서 착취한 농산물과 군수물자를 반출하기 위하여 항만을 구축하고자 도로, 제방을 축조하여 현재의 곰소가 육지가 되면서 만들어진 항구이다.
#곰소항에서 내소사 가는 길
단풍철에 내소사를 가기 위해서 삼거리를 지나 주차장에 이르는 길이 주차장으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주차장면을 많이 넓혔어도 워낙 일시에 많은 사람들이 오기 때문에 부족할 수밖에 없다. 그래도 덜 막하는 구간은 내소사 캠핑장 쪽(물놀이장)으로 우회에서 가는 길이 있는데 사람들이 많이 알지 못하는 길이라 덜 막힌다. 일단 차가 막히기 시작하면 여기는 편도 구간이라 주변에 차를 대고 걷으시길.........
약간의 등산을 원하신 분들은 능가산이 높지 않아서 내변산까지 갈지 않을 거면 2시간 정도 산행을 하고 다시 내려오면 된다. 내소사 부근까지 가면 좌측으로 올라가는 길이 나오는데 투박한 길이지만 걸을만하다. 내소사를 둘러보고 내려오는 우측 길에 #재백이 고개 탐방로 입구에서 ~ #관음봉 ~ #세봉을 지나 다시 주차장으로 다시 돌아오면 된다. 안전한 산행 하세요.
(곰소항)
곰소항은 부안에서 24km지점에 위치한 진서면 진서리 일대에 위치하고 있다. 이 항구는 왜정 말엽 우리 한민족에게서 착취한 농산물과 군수물자를 반출하기 위하여 항만을 구축하고자 도로, 제방을 축조하여 현재의 곰소가 육지가 되면서 항구로 되었다. 가이 항구는 1986년 제2종 어항으로 지정되어 물량장 및 부대시설을 갖추어 150척의 배를 수용할 수 있는 규모로 하루에 130여 척의 어선들이 드나드는 항구로 주변에 소규모 상가와 마을을 끼고 있으며 더 나아가 염전을 두고 있는 등 항구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곰소항은 줄포항이 토사로 인해 수심이 점점 낮아지자 그 대안으로 일제가 제방을 축조하여 만들었다. 목적은 이 지역에서 수탈한 각종 농산물과 군수물자 등을 일본으로 반출하기 위해서였다. 드넓은 염전이 있어 소금 생산지로도 유명하지만, 근해에서 나는 싱싱한 어패류를 재료로 각종 젓갈을 생산하는 대규모 젓갈 단지가 조성돼 있어 주말이면 젓갈 쇼핑을 겸한 관광객들로 붐비는 곳이다.
(부안의 주요여행지)
#채석강 (전북 서해안 국가지질공원)
약 7,000천만 년 전 중생대 백악기부터 바닷물의 침식을 받으면서 쌓인 이 퇴적암은 격포리층으로 역암 위에 역암과 사암, 사암과 이암의 교대층, 셰일, 화산회로 이루어졌다.
#내변산
전라북도의 서남단 서해의 고군산군도와 위도 앞바다, 북쪽으로는 새만금과 남쪽 해안은 곰소만으로 둘러싸인 이곳을 변산반도 국립공원이라 일컫는다. 안쪽 산악지대를 내변산, 그 바깥쪽 바다주변을 외변산으로 구분한다.
#적벽강 (전북 서해안 국가지질공원)
퇴적암인 셰일과 화산암인 유문암의 직접적인 경계 부분으로 성질이 다른 두 종류의 암석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 독특한 암석(페퍼라이트)을 관찰할 수 있는 장소이다.
#변산반도국립공
국립공원 중 유일하게 산과 바다가 어우러진 다기능 공원이다. 해안가는 외변산, 내륙 산악지역은 내변산이라 구분하고 있다.1988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변산반도 국립공원은 변산 안에 의상봉(508m), 신선봉(486m), 쌍선봉(459m) 등이 있다.
#격포항
고군산군도, 홍도 등 서해안도서와 연계된 해상교통의 중심지다. 서해 청정해역의 수산물이 많이 나오는 곳으로, 봄 주꾸미 산란철과 가을 전어철에는 차를 주차할 공간이 없을 정도로 전국 각지에서 온 미식가와 관광객들로 붐빈다. 주꾸미, 갑오징어, 꽃게, 전어, 백합, 바지락 등의 수산물이 많이 나오며 백합죽과 바지락 칼국수 등 대중적인 음식이 발달해 있다.
블로그 인기글
강원특별자치도 오일장날, 5일장, 전통시장, 재래시장
강원특별자치도에는 25개의 오일장이 있고 강원 재래시장 특징은 산간지방과 교통이 덜 발달되었을 때 시장의 특징이 그대로 나타난다. 즉 시장별 특성이 강화고 독특한 맛으로 인해 현지주민은 물론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시장들로 발달했다. 관광형 시장으로 발달한 정선아리랑 시장, 메밀꽃 필 무렵의 봉평 시장, 원주 민속풍물시장 등이 있으며 특히 가을철이 되면 산에서 나는 나물들이 많이 나오고 동해안을 접하고 있는 도시에서는 해산물이 풍부하게 거래된다. 강원도 오일장 닐짜별 장날 #강원도 1일, 6일 장날 시장(상점가명) 시장유형 주소(도로명) 시장개설 거진시장 오일장 강원 고성군 거진시장길 15 1일+6일 고한구공탄시장(고한시장) 상설+오일 강원 정선군 고한읍 고한 4길 38-6 1일+6일 와수시장 상설+오일 ..
tourstory3409.tistory.com
경기도 오일장날, 5일장, 전통시장, 재래시장
경기도 내 오일장은 30여 개로 5일과 10일에 열리는 장이 10개소로 가장 많고 가평작고을시장, 여주한글시장 등 지역 특산물과 특성을 가지고 있는 장이 많다. 지역적 특성상과 대규모 상가들이 많이 들어서 있어서 지방도시와 비교해 오일장, 전통시장으로 지정된 시장이 적은 편이다. 오일장은 여름철에는 비교적 장이 적은 규모로 열리고 가을철 추수철과 지역특산물이 나는 시기에 성대하게 열리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경기도 날짜별 오일장 장날 #경기도 1일, 6일장 시장(상점가명) 시장유형 주소(도로명) 시장개설 일죽시장 상설+오일 경기 안성시 일죽면 금일로 467 일원 1일+6일 금촌전통시장 상설+오일 경기 파주시 금정 24길 18-6 1일+6일 안중시장 상설+오일 경기 평택시 안중읍 안현로서3길 29 1일+6..
tourstory3409.tistory.com
목포 고하도에는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과 육지면 (0) | 2022.12.30 |
---|---|
담양 뚜벅이 여행 (0) | 2022.11.05 |
벌교 5일장과 태백산맥 (0) | 2022.11.01 |
백양산과 내장산 단풍구경 가는 길 (0) | 2022.10.30 |
마이산 탑사가는길, CNN도 반한 탑사 (0) | 2022.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