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완도는 우리나라 최남단에 위치하고 있는 남해안 생태계의 보고이다. 워낙 남쪽에 있다 보니 접근하기가 쉽지는 않지만 일단 방문하게 되면 시간을 내서 이곳저곳 둘러볼만한 곳을 추천한다.
가장 인기가 많은 관광지는 난대림의 보고 완도수목원과 완도해양치유센터, 청해진 유적지지만 중간에 있는 청해포구 촬영장도 빼 놓을 수 없다.
완도해양치유센터, 완도타워, 청해진유적지, 보길도, 청산도, 청해포구 촬영장, 어촌민속전시관, 해양생태전시관, 장보고기념관, 완도수목원
청해포구 촬영장은 통일신라시대에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해 해적을 소탕함으로써 당나라와 일본은 물론 남중국해에 이르기까지 동아시아 해상 질서를 주도하며 해상무역활동을 펼쳤던 장보고의 일대기를 담은 해신이 촬영되었고 주몽, 세종대왕, 대조영 등 이후 40여 편의 영화, 드라마가 촬영되었다.
#KBS 역사드라마 해신 촬영장
최인호의 역사소설 “해신”을 원작으로 한 특별기획드라마 “해신”은 50부작으로 국내 사상 최대의 제작비 150여억원을 들여 한국과 중국 현지에서 촬영한 드라마로 2004년 11월부터 2005년 5월까지 6개월간 KBS2 TV로 방영되었다. 현재 주말마다 청해포구에서는 다양한 체험행사를 통해 많은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질 않고 있다
#다양한 체험
옛날에 활용되었던 문화적 흔적들을 활용하여 체험할 수 있는 곳을 만들어 놓았다. 지게 등 다양한 체험이 가능하고 옥살이 등도 체험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전남완도 여행 - 청해진 장보고 유적, 장도-장군섬
청해진 장보고 유적은 일명 장군섬, 장도가 있다. 마을에서 장도까지 해상데크로 연결되어 있어 들어갈 수 있고 이곳은 통일신라시대의 유명한 무장 장보고 장군과 그가 이룩한 청해진의 유적
tourstory3409.tistory.com
블로그 인기글
강원특별자치도 오일장날, 5일장, 전통시장, 재래시장
강원특별자치도에는 25개의 오일장이 있고 강원 재래시장 특징은 산간지방과 교통이 덜 발달되었을 때 시장의 특징이 그대로 나타난다. 즉 시장별 특성이 강화고 독특한 맛으로 인해 현지주민은 물론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시장들로 발달했다. 관광형 시장으로 발달한 정선아리랑 시장, 메밀꽃 필 무렵의 봉평 시장, 원주 민속풍물시장 등이 있으며 특히 가을철이 되면 산에서 나는 나물들이 많이 나오고 동해안을 접하고 있는 도시에서는 해산물이 풍부하게 거래된다. 강원도 오일장 닐짜별 장날 #강원도 1일, 6일 장날 시장(상점가명) 시장유형 주소(도로명) 시장개설 거진시장 오일장 강원 고성군 거진시장길 15 1일+6일 고한구공탄시장(고한시장) 상설+오일 강원 정선군 고한읍 고한 4길 38-6 1일+6일 와수시장 상설+오일 ..
tourstory3409.tistory.com
전라남도 전통시장, 재래시장, 오일장 5일장 장날
전라남도 전통시장 오일장은 총 61개소로 시나 읍소재지 시장의 경우 규모도 있고 현대화사업들이 잘되어 있어서 가볼만한 곳 많다. 남해안쪽에 위치하고 있는 시장은 지역에서 나오는 해산물들이 많이 나오고 계절에 따라 특산물 종류가 많이 바낀다. 벌교 5일장에는 꼬막, 완도, 해남 등 시장의 경우 계절별 해산물이 많이 거래된다. 어느 5일장에는 특색이 있긴하지만 계절별로도 차이가 나는 것을 감안해서 찾아가는 재미도 있다. 전라남도 시,군별 오일장 장날 #전남 강진군 오일장 강진읍시장 상설+정기 강진군 강진읍 동성리 시장길 19 [4일 + 9일] 마량5일시장 정기(오일장) 강진군 마량면 마량5길 11 [3일 + 8일] 병영5일시장 상설+정기 강진군 병영면 남삼인길 6 [3일 + 8일] #전남 고흥군 오일장 고흥..
tourstory3409.tistory.com
전남 광양 매실축제, 섬진강을 품고 있는 청매실농원, 꽃개화 상황 (0) | 2024.03.03 |
---|---|
전남 여수 오동도 동백꽃 개화상황과 날씨, 바람 (0) | 2024.03.02 |
전남 담양이 있는 누정, 누각, 정자문화 - 환벽당, 소쇄원, 송강정 (0) | 2024.02.18 |
전남 순천 가볼만한 여행명소 - 순천드라마촬영장, 70년대 봉천동 (0) | 2024.02.17 |
푸르른 대나무 고향 - 담양 죽녹원과 한국대나무박물관 (0) | 2024.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