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이 흔히 우리나라 산림의 근간은 백두대간, 정간, 정맥이라 칭하고 있으나 정확한 개념은 아는 사람이 드물어서 산림청에서 알려려주는 백두대간이라 칭하는 개념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백두대간은 우리 민족 고유의 지리인식체계이며 백두산에서 시작되어 금강산, 설악산을 거쳐 지리산에 이르는 한반도의 중심산줄기로서, 총길이는 약 1,400km에 이른다 한다.
지질구조에 기반한 산맥체계와는 달리 지표 분수계(分水界)를 중심으로 산의 흐름을 파악하고 인간의 생활권 형성에 미친 영향을 고려한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산지인식 체계입니다.
백두대간의 유래 |
백두대간이 최초로 나타난 문헌은 10세기 초의 고려 승려 도선이 지은 옥룡기(玉龍記)로서 “우리나라는 백두(산)에서 일어나 지리(산)에서 끝났으며 물의 근원, 나무줄기의 땅이다.”라고 표현되어 있습니다.
백두대간을 의미하는 대간(大幹)이라는 용어를 국내에서 최초로 사용한 문헌은 이중환의 [택리지](1751년)로서 “대간은 끊어지지 않고 옆으로 뻗었으며 남쪽으로 수천 리를 내려가 경상도 태백에 까지 통하여 하나의 맥령(脈嶺)을 이루었다.”라고 표현되어 있습니다.
백두대간과 백두정간이라는 말을 처음 사용한 문헌은 이익의 [성호사설](1760년)로서, 백두산을 우리나라의 조종산이며 대간의 시작 산으로 보았으며 “백두대간(白頭大幹)”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 산맥상황도 나름대로 제시하였습니다.
백두대간을 체계화한 것은 1770년 경(영조) 여암 신경준의 [산경표]로서 백두대간에 대해서 그 용어뿐만 아니라 백두산에서 지리산에 이르는 산맥연결의 상태·관계·순서를 알기 쉽도록 일목요연하게 표로 제시하였습니다.
다만 산경표의 저자나 제작시기에 대하여 다른 의견도 있습니다. 우리 청에서는 [‘96 백두대간 연구용역] 결과보고서에 의거 여암의 저서로 추정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전국 유아숲체험원 - 강원, 경기, 서울, 부산, 충북 유아숲체험원 (0) | 2024.07.01 |
---|---|
전국 수목원 투어 - 아침고요수목원, 천리포수목원, 광릉국립수목원 등 (0) | 2024.06.25 |
전국 수국 명소 여행 - 꽃의 여왕 수국의 계절, 수국이 아름다운 곳 (0) | 2024.06.14 |
반려견, 반려동물과 동반여행 - 강아지 동반 가능한 전국 주요 여행지 (0) | 2024.05.27 |
전국 가볼만한 치유의 숲 - 자연과 함께 건강 증진할 수 있는 산림 (0) | 2024.04.29 |